한글 창제와 그 표기법의 변천


이  진  원      



1. 한글 창제와 명칭 및 표기의 변천

 

  1) 명칭의 변천

  우리의 한글은 세종 25년(1443)에 창제하고, 1446년(세종28)에 반포 하였다. 세종은 집현전을 설치하고 집현전 학사들과 더불어 문자 창제를 연구했다. 글자의 명칭은 역대 왕조의 정치적 사회적 영향에 따라 명칭을 달리 하였는데 창제 당시는‘訓民正音’이란 이름으로 태어나 우리말의 문자화라는 민족적 소망을 이루게 된 것이다. 그 후에 諺文, 半切, 국문, 한글 등으로 변천하였다.

  諺文 시대는 한학자들의 박해를 받던 시기로서 조선 말기까지 오랫동안 계속되다가 구 한 말의 국문 시대부터 부흥하기 시작하였다. 半切이란 말은 조선 중종 때 崔世珍이 訓蒙字會를 저술할 때 사용한 것으로 시대적 배경은 없다. 한글이란 말은 周時經이 지었다는 설이 있으며 최현배는 한글의 <한>은 <한나라:韓國>, <한겨레:韓民族> <큰, 하나, 바른>의 뜻으로 쓰였다고 설명하였다.


  2) 표기의 변천

  한글 창제 당시에는 字母28자였다가 시대의 흐름에 때라 음운 변화가 생겨 중성음(ㅿ,ㆆ, ㆁ, ㆍ)의 4자가 줄어들어 현재의 24자가 되었다. 처음에 세종이 글자를 창제하고 맨 처음에 사용한 것이 ≪용비어천가≫인데 여기에는 자모 28자가 전부 사용되었다. 그러다가<ㆆ, ㅸ>의 두 음이 세종 당대부터 없어지기 시작하였으며, <ㅿ, ㆁ>의 2자는 선조 때에, <ㆍ>자는 현대에 까지 사용하다가 스스로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그뿐 아니라 初聲에 <ㅄ, ㅂ, ㅅ>등이 된소리로 쓰이던 것이 선조 이후에 <ㅄ>이 없어지고, 영조 이후 <ㅂ>된소리가 없어져 <ㅅ>하나로 쓰이던 것이 최근에 竝書 글자로 쓰이게 되었다. 또 받침(終聲)에 있어서도 시초에는 다 사용되었으나 8종성<ㄱㄴㄷㄹㅁㅂㅅㆁ>으로 정하여 전승되다가 영조 때에 <ㆁ>이 없어져 7종성으로 된 것을 <맞춤법>에서 또 다시 고치게 되었다. 助詞에 있어서도 방위 격조사<에, 애, 예>, 소유격조사<이, 의>등이 복잡하게 쓰이던 것이 <에, 의>로 통일되어 갔고, <사이 ㅅ> 역시 <ㄱㄷㅂㅅㆆㅿ>등 여러 가지로 쓰이던 것이 <ㅅ>하나로 되었다. 또 말의 음성은 변모하기 쉬운 것으로 변하여 脣音아래 <ㅡ>가 <ㅜ>로 변하는 현상이나 자음접변, 구개음화, 모음회피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자음은 硬音化, 激音化하는 현상이 나타났는데 특히 인진왜란 이후에 <가마귀>가 <까마귀>, <가치>가 <까치>로 변한 것 등이다.


 

2. 중세와 근대국어의 표기법


  중세국어의 표기법에는 음소적 원리와 함께 음절적 원리도 적용되었다. 한글 자모는 초성, 중성, 종성을 음절 단위로 모아쓰는 표기를 하도록 규정하였다. 이 음절적 원리는 체언과 조사, 용언의 어간과 어미가 결합될 때에도 적용된다. ‘곶[花]’은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와 결합하면‘고지, 고즐.’동사 어간‘먹-[食]은 머그니, 머거’등으로 표기 되었다. 각 형태소의 원형이 반영되지 않고 실제 음절이 표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표기를 흔히 ‘連綴표기[이어적기]’라고 하여 ‘分綴표기[끊어적기]’와 구별한다.

  특히 15세기의 한글 표기법은 비록 현대의 한글 맞춤법과는 다른 원리이지만 비교적 완벽하게 정제된 것이었다. 16세기에 들어서‘중철표기[거듭적기]’가 나타난다. ‘중철’을 ‘혼철’이라고도 한다. 예컨대, 명사‘님금’에 주격조사‘이’가 연결될 때 ‘님금미’로 표기되는 것이다. 이는 분철 표기와 연철표기의 중복이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보면 중철 표기는 연철 표기가 분철 표기로 옮아가는 과도기적 표기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17세기 이후 근대 국어 시기에 오면 한글 표기법은 상당히 문란해지기 시작하면서 우리말은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한글은 만들어질 당시의 우리말 음운체계와 일치하는 것인데, 근대국어 단계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음운 변화의 결과로 음운체계와 문자체계상의 차이가 생기게 되었다.

  근대 시기에 들어서면서 사설시조, 가사, 고전소설 등 평민문학이 대두되어 한글 사용 층이 확대되고, 시대와 계층, 개인에 따른 표기법의 차이가 심하게 되었다.
  결국, 언어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정서법이 마련되지 못한 상태에서, 한글 사용 층이 대폭 확대됨에 따라 각양각색의 다양한 표기법이 나오게 된 것인데, 이러한 현상은 거의 통제 불능의 상태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였다. 이 상태로 17, 18, 19세기 내내 지속되었고, 19세기 말 개화기에 들어서야 비로소 ‘맞춤법’을 제정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게 된다.



3. 역사의 변화와 한글의 변천


  세종은 한글 창제 후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등의 창작 외에 1447년(세종29)에는 ≪동국정운≫과 같은 韻書도 편찬 하였으며, 수양대군은 ≪월인석보≫를 세종의 명에 의해 찬술하였다. 세조는 등극하자 개인적으로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며 배불 숭유 책에도 불구하고 원각사의 건립을 비롯하여 刊經都監을 두고 ≪법화경≫ ≪금강경≫ ≪원각경≫등을 諺解하였다. 성종 때는 번역 사업이 매우 활발하여 유윤겸의 ≪두시언해≫를 비롯하여 유숭조의 ≪七書諺解≫ 등의 번역 사업을 성취시켰다. 중종 때에는≪四書通解≫, 최세진의≪訓蒙字會≫ 등을 찬술하여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이에 앞서 세종 때의 최만리의 한글 사용 반대의 상소와 연산군의 자기 폭정을 비판한 데 기인해서 한글 사용을 엄단한고 관계서적을 焚書한 사실이 있기는 하였으나 근본적으로 침체한 이유는 사대주의 사상 때문이라 하겠다.

  그래도 그 명맥을 유지해온 온 것은 시조문학, 가사문학, 소설문학 등의 영향이 크다고 보겠다. 뒤이어 기이하게도 영조 때에는 實學의 발흥과 더불어 한글 연구에 도움이 되는 많은 韻書가 쏟아져 나왔다. 신경준(申景濬)의≪訓民正音韻解≫, 유희(柳僖)의≪諺文志≫, 박성원(朴性源)의≪正音通釋≫, 홍계희(洪啓禧)의≪三韻聲彙≫, 황윤석(黃胤錫)의≪字母辨≫, 홍양호(洪良浩)의≪經世正韻圖說≫등의 한글 연구서가 쏟아져 나왔다. 이때까지를 언문 시대라고 말한다.

  국문시대는 구한말기로 1897년의 이봉운(李鳳雲)의≪국문정리≫를 비롯해서 1907년 정부에서 學府에 <국문연구소>를 설치하여 周時經, 李能和, 池錫永 등으로 하여금 국문연구를 담당하게 하여 참다운 우리글의 연구가 시작되었다. 지석영의≪新訂國文≫, 유길준의≪대한문전≫, 프랑스 신부에 의해 저술된≪羅韓辭典≫ ≪韓佛辭典≫ ≪한어문전≫ 등 국문서적이 많이 나왔다. 그는 ≪國語文典音會≫(1910), ≪국어문법≫(1910)등을 저술하였다. 한편 ≪독립신문≫도 우리글을 갈고 닦는데 큰 공헌을 하였다. 그러다가 3.1운동이후 신문학의 발전과 더불어 국어학이 성립되기 시작하였다. 역사 속의 한글은 훈민정음→ 한글학회 → 한글맞춤법통일안 → 조선어학회 사건 등으로 변천되었다.



4. 일제시대의 어문 철자법


  전기한 구한말기의 국문연구소의 <국문 연구 의정안>은 실행에 옮겨지지 못하고, 일제통치하에서 한글의 위상은 국문에서 언문, 조선 문으로 격하되었다. 일본은 식민통치를 위하여 한글표기법을 정리할 필요가 있었다. 조선총독부에서 1912년 4월에 <보통학교 언문철자법>을 공포했다.

  이표기법은 현 은(玄 檃) 등 우리나라 학자 3인과 다카하시(高橋亨) 등 일본학자 3인이 동수로 참여했는데, 여기에서 채택된 표기법 통일안은 대체로 국문 연구소의<국문 연구 의정안> 반대의 입장을 취했다. ‘ ㆍ(아래아)’를 폐기하고‘ㅏ’로 대체한 것은 당연한 결정이나, 된소리 표기에‘ㅺㅼㅽ’등과 같이 ㅅ계 합용병서를 사용하고 받침에‘ㄱㄴㄹㅁㅂㅅㅇㄺㄻㄼ’만 쓰도록 한 것은 전통적인 한글 표기법으로 회귀한 것이었다.

  1921년 3월, 이 철자법은 <보통학교용 언문 철자법 대요>라고 했고 1930년 2월 <언문 철자법>이란 이름으로 총독부에서 개정 공포된다. 된소리 표기를‘써, 까, 쯤’과 같이 각자병서로 하고, 받침표기에서도 종래의 받침 외에‘ㄷㅌㅈㅊㄲㄳㄵㄾㅄ’을 더 쓰기로 한 것. 명사와 조사, 용언 어간 어미를 분철하여 표기 하도록 한 것 등은 한동안 버림받았던 <국문 연구 의정안>의 일부를 되살린 것이고, 이후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도 상당히 일치한다.


  

5.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한글 맞춤법


  주시경의 학통을 이은 ‘조선어연구회’에서 조선총독부와는 별도로 1933년 10월 29일(당시의 한글날) 맞춤법을 발표한 것이<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다. 그러나 국권의 상실로 권위를 얻지 못하고 있다가 광복 후 1948년 8월 15일 이후에 ‘통일안’의  진면목을 발휘하게 되었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채택하고 있는 표기법의 기본 골격은‘형태음소적’표기원리이다. 이를‘형태주의’또는‘표의주의’라고도 하는데, 한글 창제 이후의 표기법의 근간이 되어 온‘음소주의’또는‘표음주의’와는 반대되는 표기법이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은 전통적인 음소주의 표기법을 일거에 형태음소주의 표기법으로 바꾸어 놓았다. 이 표기법의 기본 원리는 총론 제1조 “한글 맞춤법은 표준말을 그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함으로써 원칙을 삼는다.”고 요약되어 있고 자구(字句)는 일부 바뀌었으나 현행<한글 맞춤법>에도 그대로 나타나 있다.

  이규정은 1937년, 1940, 1946, 1948, 1958년 등 부분적 수정을 겪었는데, 1937년의 개정에서는 1936년에 나온 <사정한 표준말 모음>에 따라 부록에 실려 있던 표준말 어례를 삭제하고, 맞춤법 각 항의 용어와 어례를 새로 정해진 표준말로 고쳤다.

  1940년의 개정에서 본문 제19항 중의 ‘후’를‘추’로(갖후다→갖추다)고치고, 종전의‘마춤법’을 ‘맞춤법’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일부 문구의 수정과 부록인‘문장부호’의 증보. 수정이 이루어졌다.

   1946년의 개정에서는 일부 항목 규정의 어구 수정이 있었고, 1948년에는 단지 1946년 개정본의 全文을 순 한글로 바꾸었고, 1958년에는 통일안의 본문 가운데서 문법 용어만을 문교부에서 제정한 문법 용어로 바꾸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맞춤법은 1988년 문교부에서 고시하여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된 <한글 맞춤법>이다. 그 동안의 개정 가운데서 가장 큰 개정이었고, 이름도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한글 맞춤법>으로 바뀌었지만, 본질적으로 1933년 조선어학회에서 제정한<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원칙은 물론 내용면에서도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참고문헌

이호권 고성환 공저 맞춤법과 표준어    2007.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이기문 이호권 공저 국어사                  2008.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안병희 윤용선 이호권 중세국어연습     2007.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국사백과사전편집위원회 국사백과사전 1975. 동아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