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기제의(忌祭儀) 忌祭則散齋二日 致齋一日 設所祭一位 家禮則只祭或考或妣一位 程子則幷祭考妣云 陳器具饌 如時祭之儀 但果及湯 皆不過三色 略有等殺 但具一分 若幷祭考妣則具二分 기제사는 산재 2일, 치재 1일 한다. 제사지낼 한분의 신위에게만 차린다. 가례에 따르면 단지 고 혹은 비 1위께만 제사 지내는데, 정자(程子)에 따르면 고비를 함께 제사 지낸다고 한다. 제기를 내고 음식 준비하기를, 시제의 의식과 같이 하는데, 단 과일과 탕은 모두 세 가지를 넘지 않아서, 약간 등급의 감(減)함이 있다. 단지 한 몫만을 차린다. 만약 고비를 함께 제사지내면 두 몫을 갖춘다. 厥明 夙興設蔬果酒饌 如時祭之儀 質明 主人以下變服 父母忌則有官者 服縞色帽垂脚 或黲布帽垂脚 玉色團領 白布裹角帶 無官者 服縞色笠或黲色笠 玉色團領 白帶 通著白靴 婦人則縞色帔 白衣白裳 祖以上忌 則有官者 烏紗帽 玉色團領 白布裹角帶 無官者 黑笠 玉色團領 白帶 婦人則玄帔 白衣 玉色裳 㫄親之忌 則有官者 烏紗帽 玉色團領 烏角帶 無官者 黑笠 玉色團領 黑帶 婦人只去華盛之服ㅇ縞 白黑雜色也 黲, 淺靑黑色 卽今之玉色也 詣祠堂敘立 再拜訖 主人升 焚香跪告于所祭之主曰 今以某親某官府君 妣則曰某親某封某氏 遠諱之辰 敢請神主 出就正寢 恭伸追慕 俛伏興 乃啓櫝 奉神主蓋座 若幷祭考妣 則奉櫝授執事者 授執事者 主人先導 主婦從之 諸子弟婦女以次隨後 至正寢 奉主就位 參神 降神 進饌 初獻 如時祭之儀 但祝祠曰 歲序遷易 諱日復臨 若幷祭考妣 考忌則曰 某考諱日復臨 妣忌則曰 某妣諱日復臨云云 追遠感時 不勝永慕云云 若父母忌則改不勝永慕爲昊天罔極 㫄親忌則曰 諱日復臨 不勝感愴云云 若父母忌則讀祝畢 祝興 主人兄弟哭盡哀 그 다음 날 일찍 일어나서, 채소, 과일, 술, 음식들을 차린다. 시제 의식과 같다. 날이 샐 무렵 주인이하 옷을 갈아입고, 부모의 기제에, 벼슬이 있으면, 호(縞)색 모자에 끈을 드리우거나, 혹은 참색 모자에 끈을 드리우고, 옥색 단령을 입고, 각대를 흰 천으로 싼다. 벼슬이 없는 사람은 호색 갓을 쓰거나 혹은 참색 갓을 쓰며, 옥색 단령을 입고, 흰 띠를 하고 보통 흰 신을 신는다. 부인은, 호색 배자, 흰 저고리, 흰 치마를 입는다. 조부모 이상의 기제에는, 벼슬이 있는 사람은 검은 사모에 옥색 단령을 입고, 흰 천으로 각대를 싼다. 벼슬이 없는 사람은 검은 갓에 옥색 단령을 입고, 흰 띠를 한다. 부인은 검은 배자에 흰 저고리, 옥색 치마를 입는다. 방친의 기제에는, 벼슬이 있는 사람은, 검은 사모에 옥색 단령을 입고, 검은 각대를 한다. 벼슬이 없는 사람은, 검은 갓에, 옥색 단령을 입고, 검은 각대를 한다. 부인은 단지 화려한 옷을 피한다. 호(縞)는 백색과 흑색의 잡색이며, 참(黲)은 옅은 청흑색인데, 지금의 옥색이다. 사당에 나아가 차례로 서서 재배한 다음, 주인이 올라가 향을 사르고 꿇어앉아 제사지낼 신주께 고하기를 ‘이제 모친모관부군, 비위이면, 모친모봉모씨로 한다. 조상께서 꺼리는 날(돌아가신 날)입니다. 감히 신주를 정침으로 내어 모실 것을 청하며, 공손히 추모의 뜻을 펴나이다.’하고, 고개 숙였다가 엎드렸다 일어나, 곧 신주함을 열어 신주를 받들어서, 함좌는 덮고, 만약 고비 병제(幷祭)면, 함을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에게 준다. 주인이 앞장서고, 주부가 그를 따르고, 모든 자제와 부녀자가 차례로 그 뒤를 따라서, 정침에 이르러, 신주를 제 위치에 모신다. 참신, 강신, 진찬, 초헌을 시제 의식과 같이 하는데, 단 축문은 ‘세월이 흐르고 바뀌어 돌아가신 날이 다시 임하여 만약 고비 병제에서 고의 기일이면, 某考諱日復臨. 비의 기일이면, 某妣諱日復臨으로 한다. 조상을 추모하고 감응하는 때에 깊이 사모하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운운’하고, 만약 부모 기일이면, 불승영모를 호천망극(昊天罔極)으로 고치고, 방친의 기일이면, ‘돌아가신 날이 다시 임하여 슬픈 감정을 이기지 못하겠습니다. 운운’으로 한다. 만약 부모 기일이면, 축 읽기를 마치고, 축관이 일어나고, 주인 형제는 곡하여 슬픔을 다한다. 亞獻終獻侑食闔門啓門進茶辭神納主 奉歸祠堂 徹 竝如時祭之儀 但不受阼不餕 아헌, 종헌, 유식, 합문, 계문, 진다, 사신, 납주, 철상 등은 시제 의식과 같이 한다. 단, 수조례와 준을 하지 않는다. 是日 不飮酒 不食肉 不聽樂 變服以居 父母忌則縞色笠 白衣白帶 祖以上則黑笠 白衣白帶 㫄親則去華盛之服 夕寢于外 이 날은 술 마시지 않고, 고기를 먹지 않으며, 음악을 듣지 않고, 옷을 갈아입고 지내다가, 부모 기일에는 호색 갓에 흰 옷, 흰 띠를 하고, 조부모 이상은 검은 갓에 흰 옷, 흰 띠를 하며, 방친에는 화려한 옷만 피한다. 저녁에는 사랑에서 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