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소산(香蘇散)<실>

▲처 방
   향부자·소엽 각 7.5g, 창출 5.625g, 진피 3.75g, 감초 1,875g, 생강 3조각 총백 2개 경(莖)4조각 

▲목 표

  4계절 중에서 외감(外感)과 식상(食傷)이 병발되는 경우에 쓴다. 맥상은 갈근탕증이나 계기탕증과는 달리 침(沈)하다. 그리고 설태(舌苔)는 없다. 또한 두통·현훈·이명(耳鳴) 등의 신경 증상이 수반되는 경우를 목표로 한다.

▲용도 및 적응증
   오한·발열·두통·흉만(胸滿)·신통(身痛)·식욕감퇴·소화불량·건구역(乾嘔逆)등증이 수반되는 경우에 쓴다. 그리고 어육(魚肉) 중독·위장증(胃腸症)의 감기 갱년기 장애·월경 폐지·월경불순·히스테리·신경쇠약 등증에도 쓴다.

▲약리 작용
   1)향부자……기울(氣鬱)을 소통 시키면서 신경을 안정되게 한다.

   2)소염……발한·해열·하기(下氣) 등의 작용을 한다.
   3)창출……건위·소화·제습 등의 작용을 한다.
   4)진피……소담(消痰)·건위·순기(順氣)· 소화 등의 작용을 한다.

   5)감초……교미·건위·완화·해독·진통·진정·약효 강화 등의 작용을 한다.

   6)생강……발한·건위·진구(鎭嘔) 등의 작용을 한다.

   7)총백……발한 작용을 해 준다.

 ▲ 해 설
   1)본방은 외감협내상(外感挾內傷)에 통용으로 쓰는 방제이면서도 부인들의 신경과민·불안·초조·공포·심계 항진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에도 많이 쓰이고 있다.
   2)본방에 청궁·백지를 가하면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이 된다. 이 처방은 외감협내상으로 두통이 심한 경우에 쓴다.
   3)본방에 오약(烏藥)·천궁·강활·지각·마황 각 1.125g을 가하면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이 된다. 이 처방은 감모(感冒)·급성 위염으로 생기는 복부창만통(腹部脹滿痛)·신경성 위염 등증에 적용한다.
   4)본방에 천궁·창출·강활·남성·반하·당귀 각 3g 계피 1.5g을 가하면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이 된다. 이 처방은 부인칠절(七情)·육울(六鬱)·기체경락(氣滯經絡)·수족마비 등증에 쓴다. 이 때에 수족비통증(手足痺痛症)이 있을 경우에는 다시 위령선(威靈仙)·우슬·목과 각 3.75g, 부자포 1.125g을 가미한다.
   5)본방에 목과·빈랑·강활·우슬 각 3.75g 총백 2개 3경(莖)을 가하면 빈소산(檳蘇散)이 된다. 이 처방은 풍습각기(風濕脚氣)·종통(腫痛)에 쓴다.
  마비에는 위령선을 가하고 통증이 심하면 유향목(乳香木) 3.75g을 조복(調服)한다.

▲ 응 용
   1)두통이 심하면 청궁·백지 각 3.75g을 가한다.
   2)발한(發汗)이 심하면 계지 3.75g을 가한다.
   3)무한(無汗)이면서 오한이 있으면 마황 3.75g을 가한다.
   4)해소에는 상백피·행인·길경·패모·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5)비폐색증(鼻閉塞症)에는 세신·신이·박하를 각 3.75g을 가한다.
   6)드현(頭眩)에는 형개 3.75g을 가한다.
   7)소화 불량에는 산사·신곡초·맥아초연·지실 각 3.75g을 가한다.
   8)습(濕)으로 인하여 수족 마비가 있을 경우에는 마황·계지·강활·목과 각 3.75g을 가한다.
   9)부인들의 울증(鬱症)이 심할 경우에는 동변초(童便炒)를 한 향부자 3.75~7.5g을 가미해서 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