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탕(二陳湯)

▲처 방
   반하 7.5g, 귤피·적복령·감초 각 1.875g, 생강 3조각

▲목표와 용도 및 적응증
   본방을 인체 내에서의 신진 대사 장애로 생기는 노폐물로 인하여 발병되는 여러 가지 질환을 목표로 한다. 즉 담성(痰盛)으로 인한 위내정수(胃內停水)·오심·구토·현훈·좌두통·담결통(痰結痛)·중풍성좌측 반신 불수·임신 구토 등증에 광범위하게 스이고 있다.

▲약리 작용
   1)반하……거담·제습·진구(鎭嘔) 등의 작용을 한다.

   2)진피……거담·통기·보비(補脾)·소도(消導) 등의 작용을 한다.

   3)목령……진담(鎭痰)·이뇨·보심(補心) 등의 작용을 해 준다.
   4)감초……교미·완화·보비·진통·약효강화 등의 작용을 한다.

▲해 설
  1)본방은 담병(痰病)에 통용되는 주방(主方)이다.
  2)반하백출천마탕·천마탕(天麻湯)·궁하탕 등은 이진탕에 가미를 한 처방들이다.
  3)한의학에 십병구담(十病九痰)이란 이론이 있듯이 많은 병 중에는 담병(痰病)이 많다는 뜻이다. 이진탕이 임상에서 광범위하게 쓰이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응 용
   1)식체에는 산하 6.5g, 후박·창출 각 3.75g을 가한다.
   2)식적담(食積痰)에는 산사 7.5g, 향부자·신곡초 각 3. 75g을 가한다.
   3)담비(痰痞)·식욕 부진에는 지실(枳實)·사인초(砂仁炒)·곽향·목향 각 3.75g을 가한다.
   4)구토·번갈에는 갈근·택사·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5)풍담에는 남성포(南星炮)·지각·발풍·길경 각 3.75g을 가한다.
   6)한담(寒痰)에는 건강·육계 각 3.75g을 가한다.
   7)주담(酒痰)에는 반하(半夏)를 빼고, 갈근·양강·사인초연·시엽(枾葉) 각 3.75g을 가한다.
   8)음주 후에 토담(吐痰)하는 경우에는 갈근·양강·시엽·곽향·사인초연 각 3.75g을 가한다.
   9)비허생담(脾虛生痰)에는 인삼·백출·백작약·지질·사인초연·길경 각 3.75g을 가한다.
  10)흉복(胸腹) 속에 담이 있어서 작통(作痛)과 비만(痞滿)한 증상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지각·백출·신곡초·맥아초연·사인초연·길경(桔梗) 각 3.75g을 가한다.
  11)열담(熱痰)에는 반하를 빼고, 황금·치자·길경·패모·맥문동·지실 각 3.75g, 죽력(竹瀝) 3숟갈(匙)을 가한다.
  12)담이 두부(頭部)에 있어서 통증이 심할 경우에는 천궁·고본·만형자·세신·형개·박하·승마 각 1.875g을 가한다.
  13)담이 흉협부(胸脇部)에 있어서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시호·치자·백개자초연·청피(靑皮)·천궁 각 3.75g을 가한다.
  14)요술각담종통(腰膝脚痰腫痛)에는 우슬·목과·방기(防己)·목통·비해(萆薢) 각 3.75g을 가한다.
  15)견항배담통(扁項背痰痛)에는 강활·황금·길경·향부자초(香附子炒) 각 3.75g을 가한다.
  16)배요담통(背腰痰痛)에는 창출·백출 각 3.75g을 가한다.
  17)편두통으로서 혈허(血虛)·조경석중(朝輕夕重)에는 사물탕을 합방하고, 형개·박하·세신·만형자·시호·황금 각 3.75g을 가한다.
  18)흉격부(胸膈部)의 담결(痰結)에는 과루인(瓜蔞仁)·패모(貝母)·백개자(白芥子) 각 3.75g을 가한다.
  19)흉격부(胸膈部)에서 담통이 있고 수성(水聲)이 들리는 경우에는 과루인·청피·백개자초연·창출·지실·목향사인초연·향부자초·당귀·천궁 각 3.75g을 가한다.
  20)흉협배부(胸脇背部)가 욱신욱신하면서 담연(痰涎)이 도반되는 경우에는 향부자초·지실·주황금(酒黃芩)·백개자초연·당귀·목향 각 3.75g을 가한다.
  21)습담(濕痰)이 유주(遊走)되면서 전신이 욱신욱신하면서 종괴(腫塊)가 생기는 경우에는 창출·향부자초·지각·과루인연(瓜蔞仁硏)·주황금·강활·방풍·연교(連翹)·목향·당귀 각 3.75g, 홍화 3g, 죽력·강즙(薑汁) 각 3~4숟갈을 가한다.
  22)두항통(頭項痛)에는 갈근·강활·위령선(威靈仙) 각 3.75g을 가미해서 쓴다.
  23)열이 있을 경우에는 시호 3.75g을 가한다.
  24)상신통(上身痛)에는 천궁·백지(白芷) 각 3.75g을 가한다.
  25)하신통(下身痛)에는 우슬·목과·황백(黃栢) 각 3.75g을 가한다.
  26)괴(塊)에는 유향(乳香)·몰약(沒藥) 각 1.125~1.875~3.75g을 가한다.
  27)담이 흉배수족(胸背手足)에 있어서 통증이 생기는 경우로서 상체에 통증이 있을 때는 위령선·강활·방풍 각 3.75g을 가미하고, 하체에 통증이 있을 경우에는 우슬·목과·방기·목통 각 3.75g을 가미한다. 겨울철에 발병되는 경우에는 오약·부자포(附子포) 각 3~3.75g을 가한다.
  28)소변 임삽(淋澁)에는 택사·연교 각 3.75g을 가한다.
  29)소변 불통에는 호장근(虎杖根)·택사 각 3.75~7.5g을 가한다.
  30)이질에는 백작약·지유(地楡)·황련 각 3.75g(열이 있을 때), 농혈리(膿血痢)에는 현호색(玄胡索) 3.75g, 현지초 7.5g을 가미해서 쓴다.
  31)해소 때에 객담(喀痰)이 잘 떨어지는 경우에는 창출·백출·산약·사인초연 각 3.75g을 가한다.
  32)흉격(胸膈)에 답이 있어서 해소와 기창통(氣脹痛)이 있을 경우에는 반하를 빼고, 과루인연·지각·소자초연·길경·패모·사인초연·향부자초·당귀 각 3.75g을 가한다.
  33)해소 때 누런 담이 나올 때는 황금·치자·상백피·길경·천문동(天門冬)·소자초연·과루인연·지각·행인(杏仁) 각 3.75g, 죽령 3숟갈
  34)담천기급(痰喘氣急)에는 반하를 빼고 과루인연·소자초연·백개자초연 각 3.75g, 죽력·강즙 각 3숟갈, 지실·당귀·천궁·사인초연·목향·소회향·주황금·강활·창출 가 3.75g을 가한다.
  35)담으로 발열·해소·객담 등이 있을 경우에는 반하를 빼고, 상백피·길경·황금·맥문동·시호·패모·오미자·당귀 각 3.75g, 죽력·생강즙 각 2~3숟갈을 가한다.
  36)종괴통(腫塊痛)에는 외용(外用)으로 오배자(五倍子)·대황·망초(芒硝)·남성(南星) 등을 잘개 빠아서 식초에 조화(調和)하여 환부에 바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