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삼양위탕(人蔘養胃湯)<허>

▲처 방
   창출 5.625g 진피·후박·반하국(半夏麯) 각4.6875g(1전2푼 반), 적복령·곽향 각 3.75g, 인삼·초과·감초구 각 1.875g, 생강 3조각, 대추 2, 오매(烏梅) 1개 초구 각 1.875g, 생강 3조각, 대추 2, 오매(烏梅) 1개g

▲목 표(本方의 解說)
  본 방은 상한음증(傷寒陰症)과 감기에 소화 불량증이 겸하여 오한·발열·신통(身痛)·두통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를 목표로 한다.

▲용도 및 적응성
   본방은 감모(感冒)·소화 불량·급성 위염·설사·서체(暑滯)·이질·학질·냉적(冷積)·임신부의 잡병·회충 등증에 적용한다.

▲약리 작용
  1)창출……제습·건위·발한 등의 작용을 한다.
  2)진피……소담·행기(行氣)·소화 등의 작용을 한다.
  3)후박……온중·제습·하기·소화·소종(消腫) 등의 작용을 한다.
  4)반하……거담·소화 등의 작용을 한다.
  5)적복령……보심·이뇨 등의 작용을 한다.
  6)곽향……음양을 조화하면서 소화·하기 등의 작용을 한다.
  7)인삼……보기·지갈(止渴)·보허로(補虛勞)등의 작용을 한다.
  8)초과……소화·소창(消脹)·소담·치학(治瘧) 등의 작용을 한다.
  9)감초구……교미·보허(補虛)·해독·약효 강화 등의 작용을 한다.
10)생강……온중(溫中)·발한 작용을 한다.
11)대추……자양 강장재이면서 완화 작용을 한다.
12)오매……구충(驅蟲)작용을 해준다.
 
▲해 설
  1)본방 중의 창출·진피·후박·감초 등은 평위산(平胃散)이 된다. 이 처방은 급성 위염이나 만성 위염·비만(痞滿) 등 증에 쓴다.
 2)본방 중의 창출·진피·후박·감초·반하·곽향 등은 불환금정기산이 된다. 이 처방은 외감과 내상이 겸한 싫증인 경우에 쓴다.
  3)본방 중의 진피·반하·적복령·감초 등은 이진탕(二陳湯)이 된다. 이 처방은 담음(痰飮)의 통용방이 되고 있다.
  4)본방에 향유(香薷)·백편두를 가하면 향유양위탕(香薷養胃湯)이 된다. 이 처방은 서체(暑滯)에 좋은 효과를 보여 준다.
  5)본방에 계지(桂枝)·건강포(乾薑炮) 각7.5g을 가하면 계강양위탕(桂薑養胃湯)이 된다. 이처방은 냉적(冷積)에 쓴다.

▲응 용
   1)식체에는 산사(山査) 7.5g, 신곡·빈랑 각 3.75g, 지실 2.625g을 가한다.
   2)감모(感冐)에는 건갈(乾葛)·편향부자(便香附子) 각 3.75g, 소엽 2.25g을 가한다.
   3)울열(鬱熱)에는 두시(豆鼓)30~50알을 가한다.
   4)고열인 경우에는 산치자(山梔子) 1.875g~2.625g을 가한다.
   5)서체에는 향유·백편두 각 3.75g을 가한다.
   6)설사에는 차전자·택사·저령 각 3.75g을 가한다.
   7)이질에는 황련·신곡·지각 각 3.75g, 빈랑 7.5g, 당목향(唐木香) 1.875g, 현지초 11.25g을 가한다.
   8)적리(赤痢)·혈리(血痢)에는 현호색(玄胡索)·도인 각 3.75g, 현지초 7.5g을 가한다.
   9)소변 불리에는 저령·택사 각 3.75g을 가한다.
 10)학질에는 시호 7.5g, 황금·빈랑 각 3.75g, 초과(草果)의 양을 두배로 해서 쓴다.  11)노학(老虐)에는 초과 7.5g을 가한다.
 12)임산부의 경우에는 창출을 백출로 바꾸고 반하(半夏)를 법제(法製)해서 쓴다.
 13)회충에는 빈랑·사군자·산사욱·화초(花椒) 각 3.75g을 가한다.
 14)냉적에는 계지·건강포 각 7.5g을 가한다.
 15)비만증(痞滿症)에는 지실 3.75g을 가한다.
 16)관절통에는 방풍(防風) 3.75g을 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