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탕(四物湯)<허>

▲처방
   당귀·숙지황·작약·천궁 각 3.75gg

▲목표
   여성들에게 통용되며 남녀 같이 안면창백·현훈·저혈압·두통·복벽(腹壁) 연약· 맥무력(脈無力) 등의 빈혈성 질환에 목표를 둔다.

▲용도 및 적응증
  보혈제이면서 혈액 순환제로 쓴다. 특히 빈혈증과 산후의 출혈 과다 그리고 여러 가지 부인병에 좋은 약이다. 또한 산후 중풍·월경통·월경불순·자궁 출혈 및 혈관 질환·백혈병·빈혈성 피부병 등증에 광법위하게 쓰이고 있다.

▲약리작용
   1)당귀……심·비장(心脾臟)에 들어가서 조혈소(調血素)가 된다.
   2)숙지황……심·신장(心腎臟)에 들어가서 조혈소가 된다.
   3)작약……간·비장에 들어가서 조혈소가 된다.
   4)천궁……심·간장의 기능을 보강시키면서 전신의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가감 해설
   1)본방은 신산성(辛酸性) 온제(溫劑)로서 냉성 체질에 좋다. 그리고 남녀를 막론하고 빈혈·출혈과다·혈액 및 혈관질환 등에 주약(主藥)이며 특히 부인병의 전문 약이다.
   2)본방에다 사군자탕을 합하면 팔물탕 팔진탕(八物湯:八珍湯)이 된다.
       이처방은 혈허증에 기허증이 동반되는 경우에 쓴다. 그리고 여기에다 다시 육계와 황기를 가하면 십전대보탕이 된다
       이 처방은 혈허증과 기허증이 동반된 냉성 체질자에 쓴다. 그러므로 사물탕의 응용 범위는 광범위하다.
   3)본방에다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황련·황금·황백·치자 각 4.5g)을 합방하면 온청음(溫淸飮)이 된다. 이것은 열증성(熱症性)출혈에 쓴다.
   4)본방에 육미지황탕을 합방한 것을 사육탕(四六湯)이라고 한다. 이처방은 혈허증에 신허증(腎虛症)이 동반된 경우에 쓴다.

▲가감 응용
   1)혈열(血熱)에는 숙지황을 빼고, 생지황11.25g, 지모(知母)·황백병염수초(黃栢並鹽水炒) 가 1.875g또는 단삼(丹蔘)·목단피(牧丹皮) 가 3.75g을 가한다.
   2)혈한(血寒)에는 계심(桂心)·우슬(牛膝) 각 3.75g을 가한다.
   3)월경통에 있어서 월경기 전부터 복통이 있는 경우에는 향부자·도인·머단피·현호색(玄胡索)·봉출·홍화(紅花)·황금 각 3.75g을 가한다.
   4)월경통에 있어서 월경중에 심복요통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황련·향부자·현호색·목단피·봉출·청피·도인·홍화 각 3.75g을 가한다.
   5)월경통에 있어서 월경이 끝난 후에 복통이 올때에는 인삼·백출·건강·감초 각 3.75g을 가한다.
   6)월경 때 월경 양이 적고 색담자(色淡者)는 인삼·백출·건강·감초 각 3.75g을 가한다.
   7)경폐복통(經閉腹痛)에는 숙지황을 4배로 해서 쓴다.
   8)월경이 빨리 오는 것은 혈허유열증(血虛有熱症)이므로 생기황 7.5~11.25g, 황금·황련·아교·지모·죽염(竹葉) 감초 각 3.75g을 가한다.
   9)월경이 자흑색(紫黑色)이면서 덩어리가 나오는 것은 기울혈체(氣鬱血滯)로 인한 것이므로 숙지황을 생지황으로 바꾸어 7.5~11.25g으로 하고, 향부자·현호색·목단피·청피·도인·홍화·감초 각 3.75g을 가한다.
   10)월경이 끝난 후에 전신에 부종(浮腫)이 초래되는 것은 비경(脾經)의 허혈(虛血)에 의한 것이므로 백봉령·사인초연(砂仁炒硏)·대복피(大腹皮)·진피·후박(厚朴)·목통(木通)·목향·저령(猪苓)·소자초연(蘇子炒硏)·향부자·현호색·우슬·감초 각 3.75g을 가한다.
   11)월경이 오래도록 없으면서 전신 부종이 초래되는 것은 어혈(瘀血)이 비경(脾經)에 들어간 것이므로 목단피·육계·건강·후박·지각(枳殼)·목향·도인·현호색·우슬 홍화·향부자 각 3.75g을 가한다.
   12)월경 떼 자흑색이면서 덩어리가 있고 요복통(腰腹痛)·수족냉(手足冷)·구건(口乾)·목현(目眩) 등증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숙지황을 빼고 생지황으로 대치하되 용량은 3.75~11.259g으로 한다. 그리고 황금·형개(荊芥)·향부자·속단(續斷)·현호색·두충(杜沖)·지유(地楡)·소희양(小茴香)·감초 각 3.75g을 가한다.
   13)월경때 경도가 없고 입 또는 코를 통해서 피가 나오는 경우에는 생지황7.5~11.25g, 황금·목단피·서각(犀角)·치자초혹(梔子炒黑)·아교주(阿膠珠)·복령·진피·맥문동 각 3.75g을 가한다.
   14)월경 후에 전신통(全身痛)이 수반되는 것은 기허증(氣虛症)이므로 사군자탕에 건강 3.75g을 가한다.
   15)월경때 경도 색깔이 연한 것은 담(痰)에 기인된 것이므로 반하제·복령·진피·생강·감초 각 3.75g을 가한다.
   16)월경때 한열왕래(寒熱往來)가 있으면 소시호탕(小柴胡湯)을 가하는 것이 좋다.
   17)월경의 량이 많을 때는 황금·백출 각 3.75g을 가한다.
   18)월경의 량이 적을 때는 규화(葵花)·홍화 각 3.75g을 가한다.
   19)비대하면서 얼굴이 흰 사람이 월경이 오래도록 있는 것은 담(痰)에 기인하는 것이므로 이진탕(二陳湯)에 향부자·창출(蒼朮)·남성포(南星炮)·천궁·당귀·활석(滑石)각 3.75g을 가한다.
   20)월경의 량이 많고 오래도록 지속되다가 자궁미출혈(子宮微出血)이 계속됮는 경우에는 숙지황을 생지황으로 대치하고 7.5~11.25g로 하며, 황금·치자초흑을(검게 볶는다)·백출·복령·향부자초혹·형개초흑(荊芥炒黑)·지유초혹(地揄炒黑)·아교주(阿膠珠)·측백엽초흑 각 3,75g을 더한다.
   21)혈허발열(血虛發熱)·허로(虛癆) 등증에는 맥문동·목단피·산약·백복령 각 3.75g을 가한다.
   22)골증(骨蒸) 노열(勞熱)에다 시호·황금·지골피(地骨皮)·지모(知母) 각 3.75g을 가한다.
   23)혈허발열에는 건강 9.375g, 목단피 5.625g, 시호 1.875g을 가한다.
   24)전신 발열·번갈(煩渴)·인음(引飮)(갈증이 심하여 물을 많이 마신다) 등증에는 승마·갈근 각 3.75g을 가한다.
   25)방로허(房勞虛)·傷寒熱)·여학(如瘧)에는 건강·목단피 각 3.75g을 가한다.
   26)혈열·설건(舌乾)·구갈(口渴)등증에는 맥문동·천화분(天花紛) 각 3.75~5.625g을 가한다.
   27)상기(上氣)·심협자통(心脇刺痛)에는 고련피(古練皮)·백개사(白芥子)·현호색(玄胡索) 각 3.75g, 빈랑(檳榔)·목향 각 1.875g을 가한다.
   28)협하견인통(脇下牽引痛)에는 빈랑·청피 각 3.75g을 가한다.
   29)구토에는 차전자(車前子) 18.75g 또는 죽여(竹茹) 3.75g을 가미하여 쓰기도 한다. 이 때에는 숙지황으로 생지황으로 대치한다.
   30)인후통에는 사간(射干)·산두근(山豆根) 각 3.75~7.5g을 가한다.
   31)변비증에는 천궁·대황(大黃) 각 2.75g~7.5g을 가한다.
   32)심계항진(心悸亢進)에는 향부자·진피·사인초연(砂仁炒硏)·백복령 각 3.75g을 가한다.
   33)월경불순·회복통(蛔腹痛)에는 고련근피(苦練根皮) 3.75g, 생강 3조각, 대추 2개, 오매(烏梅)1개를 가한다.
   34)혈붕(血崩)에는 포황초(浦黃炒)·생지황·아교주·황금·애엽(艾葉)·측백엽초흑·형개초흑 각 3.75g을 가한다.
   35)혈루(血漏)에는 인삼 3.75g, 생강 3조각, 대추 2개를 가미하기도 하고, 측백엽초흑·형개초흑·포황초흑 각 3.75g, 건강초흑 1.875g으로 하여 쓰면 지혈이 잘 된다.
   36)적백대하(赤白帶下)에는 향부자·백지(白芷) 각 3.75g을 가한다.
   37)활변(滑便)에는·계지(桂枝) 각 3.75g을 가한다.
   38)수설(水泄) 혹은 기상역(氣上逆)·구토부지(嘔吐不止)에는 인삼·반하(半夏)·익지인(益智仁) 각 3.75g, 정향(丁香) 1.125g을 가한다.
   39)변전하혈(便前下血)에는 아교주 3.75g, 황금·황련각 1.875g, 저근백피(樗根白皮) 3.75g을 가한다.
   40)변후하혈(便後下血)에는 괴화(槐花)·황기(黃耆)·지각(枳殼)·저근백피 각 3.75g을 가한다.
   41)변혈(便血)이 전후를 막론하고 있을 경우에는 저근백피·황기·사인초연·행인(杏仁) 각 3.75g, 황금·황련 각 1.875g을 가한다.
   42)복중비만(腹中痞滿)에는 지실(枳實)·향부자·진피빈랑 각 3.75g을 가한다.
   43)복중허냉(腹中虛冷)·복통·요척간통(腰脊間痛)에는 현호색·천련자(川練子) 각 3.75g을 가한다.
   44)제복통(臍腹痛)에는 오매(烏梅)·지실·길경 각 3.75g을 가한다.
   45)소복통(小腹痛)에는 소회향(小茴香)·백작약 또는 천련자(川練子)·현호색 각3.75g을 가한다.
   46)복통·해소·천식·토혈 등증에는 인삼·황가 각 11.25g, 방풍(防風)3.75g을가한다.
   47)야간 해소에는 건강·계지·오미자 각 1.875g을 가한다.
   48)감모후(感冒後)·자한(自汗)·해소에는 인삼·복령 각 3.75g을 가한다.
   49)흉복 비만에는 향부자·반하제·지실·길경·초과(草果) 각 3.75g을 가한다.
   50)중습(中濕)·신중무력(身重無力)·신냉(身冷)·미한(微汗) 등증에는 백출(白朮)·백복령 각 3.75을 가한다.
   51)오한·발열·두통·사지 관절통 등증에는 강활(羗活)·방풍·세신·고본(藁本) 각 3.75g을 가한다.
   52)상한양증(傷寒壤症)에는 황금·백출 각 3.75g, 인삼 1.875g을 가한다.
   53)화울(火鬱)에서는 당귀를 두 배로 하고, 사삼(沙蔘)·육계(肉桂)·오미자·석창포(石蒼蒲) 각 3.75g을 가한다.
   54)번열(煩熱)·두통·오한·발열 등증에는 황금·백출·시호·목단피 각 3.75g을 가한다.
   55)허손(虛損)·불매(不寐)에는 죽엽(竹葉)·산조인초(酸棗仁炒)·인삼 각 3.75g을 가한다.
   56)항강(項强)에는 인삼·황금 각 3.75g을 가한다.
   57)비출혈(鼻出血)에는 서각(犀角) 3.75g, 생지황 11.25g, 황기 18.75g, 방풍 1.875g을 가한다.
   58)학질에는 시호·갈근·목단피 각 3.75g을 가한다.
   59)담이 있을 경우에는 진피·패모(貝母) 각 3.75g을 가한다.
   60)혈리(血痢)에는 황금·황련·아교주 각 3.75g으로 하거나, 현호색말(玄胡索末)을 3.75~5.625g을 조복(調服)한다.
   61)현훈에는 진봉(秦芃) 3.75g으로 하거나 형개(荊芥)3.75g을 가미하여쓰면 좋다. 녹용을 가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62)안질(眼疾)의 허증(虛症)에는 강활·방풍 각 3.75g 보간장(補肝臟), 싫증(實症)에는 강활·방풍 각 3.75g 보간장(補肝臟), 싫증(實症)인 경우에는 초룡담(草龍膽)3.75~7.5g을 가미하여 쓴다.
  63)안구적통(眼球赤痛)에는 강활·방풍·방기(防己)·초룡담 각 3.75g을 가한다.
  64)잉부(孕婦)태기상역(胎氣上逆)에는 황금·백출 각 3.75g을 가미하여 쓴다.
  65)잉부 해소에는 사삼 7.5g, 상백피(桑白皮) 1.875g, 또는 맥문동·오미자·사삼  각 7.5g, 진피·행인(杏仁) 각 1.875g, 감초 1.125g을 가하여 쓴다.
  66)잉부들의 식욕 감퇴에는 익모초(益母草)·초과(草果)·사인(砂仁) 각 1.875g, 감초 1.125g을 가한다.
  67)잉부 협복통(脇腹痛)에는 산사(山査)·고련근피(苦練根皮)·건강 각 3g을 가미하여 쓴다.
  68)잉부 태동불안(胎動不安)·출혈부지(出血不止)에는 애엽(艾葉)·황금·아교주 각 3.5g을 가한다.
  69)난산(難産)에는 차전자(車前子) 7.5g 또는 백지(白芷)·대복피(大腹皮)를 각각 7.5g씩 가미하거나 때로는 녹용을 가미하여 쓴다.
  70)산후 혈리(血痢)·복통에는 황련·괴화·현호색 각 3.75g을 가한다.
  71)산후 오로불통(惡露不痛)에는 우슬·도인·소목(蘇木) 각 3.75g을 가한다.
  72)좌측 반신불수에는 계지·도인 각 3g, 홍화 1.125g을 가한다.
  73)이유(離乳)의 목적인 경우에는 맥아초(麥芽炒) 18.75g을 가한다.
  74)산후 허약으로 유즙(乳汁) 분비장애인 경우에는 적복령(赤茯苓)·천화분·맥문동·왕불유행(王不留行)·천산갑(穿山甲)·목통(木通)·황기 각 3.75g을 가한다.
  75)소아감모(小兒感冒)에는 승마(升麻)·방풍·오악(烏樂) 각 3.75g을 가한다.
  76)소아 한열왕래(寒熱往來)·지한(自汗)·위연(痿軟) 등 증에는 승마 1.125g을 가한다.
  77)소아마진(小兒麻疹)·두진(痘疹)의 시초에는 육계(肉桂)1.875g을 가한다.
  78)소아반진(小兒斑疹)이 소퇴(消退)된 후에 식욕이 감퇴될 경우에는 신국초(神麯炒)·사인초연(砂仁炒硏) 각 1.875g  가한다.
  79)소아마진 후유증에는 황금·자초(紫草) 각 3.75g을 가한다.
  80)마진의 전후에 조열(潮熱)이 불토(不退)되는 경우에는 서각(犀角)·맥문동 각 3.75g을 가한다.
  81)신허증(腎虛症)이 심한 경우에는 육미지황탕을 가한다.
  82)빈혈증에는 녹용 3.75~7.5g을 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