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허>

▲처방
   황기(黃耆) 5.625g, 인삼·백출·감초 각 3.75g, 진피(陳皮)·당귀(當歸) 각 1.875g, 시호(柴胡)·승마(升麻) 각 1.125g

▲목표
   중기(中氣)의 허약으로 얼굴이 누렇고 피부와 모발에 윤기가 없고 까실까실하며 식욕 감퇴·영양부족·안검(眼瞼)에 힘이 없으며 안정(眼睛)이 흐리고 사지 권태·전신 피로·구건(口乾)·발열·발한·두통·자한(自汗)·번갈(煩渴)·천식·설사·식사후노권(勞倦)·맥미세약(脈微細弱)하고 복벽(腹壁)은 무력 연약 제상동계(臍上動悸) 등증을 목표로 한다.

▲용도 및 적응증
   주하병(注夏病)·만성비질환(慢性鼻疾患)·늑막염·폐결핵·위하수(胃下垂)·복막염·병후쇠약·탈항(脫肛)·자궁탈(子宮脫)·도한(盜汗)·요삽(尿澁)·외감(外感)·내상(內傷)·언어 무력·만성 이질 등 증에도 적용한다.

▲약리작용
   ◇황기·인삼 ……폐장(肺臟)의 기능을 보강시키는 동시에 피부의 영양제가 되기에 자한(自汗)을 멈추게 하는 특수 작용을 한다. 그리고 원기를 보하면서 건위 작용도 한다.
   ◇백출(白朮)……비위장(脾胃臟)을 보하면서 습열(濕熱)을 제거한다.
   ◇진피……비 위장의 원기를 통기(通氣)시키면서 소화 소담(消痰)시키는 작용을 한다.
   ◇당귀……보혈 작용을 하면서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승마·시호……승기(升氣)와 해열작용을 한다.


▲가감 해설
   □본방은 중초(中焦)의 장기(臟器)를 보기(補氣)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쓰인다. 그리고 보제(補劑)중에서도 왕자격이 되므로 의왕탕(醫王湯)이라고도 불린다.
   □본방은 외감병(外感病)과 내상병(內傷病)에 통용한다. 허약자의 외감증에 시호제(柴胡劑)를 써야 할 경우에 응용하며, 평소에비위장(脾胃臟)의 기능이 허약하고 원기가 부족할 때도 많이 쓴다.
   □본방에다 백작약(白芍藥)·오미자(五味子)를 더하면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이 된다. 이 처방은 내상성(內傷性)질환에 많이 쓴다.
   □본방에 창출(蒼朮)·반하(半夏)·황금(黃芩)등을 더하면 삼출익위탕(蔘朮益胃湯)이 된다. 이처방은 내상성 질환에 많이 쓴다.
   □본방에다 황금(黃芩)·신곡(神곡)을 더하면 익위승양탕(益胃升陽湯)이 된다. 이처방은 갖공의 내상증과 혈허증(血虛症)이 동반되었을 경우에 선리위기(先理胃氣)의 목적으로 쓴다.
   □본방에다 백작약·세신(細辛)·천궁(川芎)·만형자(蔓荊子) 등을 더하면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이 된다. 이처방은 원기 부족으로 생기는 두통증에 특효가 있다. 두통이 심할 경우에는 유향(乳香)을 1.875g 가미하면 더욱 효과가 좋다.
   □본장에다 강활(羌活)·방풍(防風)·세신 천궁 등을 더하면 조영양위탕(調營養衛湯)이 된다. 이처방은 외감성 질환에 많이 쓴다.

▲가감 응용
   ☆두통에는 만형자·고본(藁本)·세신·천궁 각 3.75g을 가한다.
   ☆액통(額痛; 이마가 아픈 것)에는 천마(天麻)·백지(白芷)·갈근(葛根) 각 3.75g을 가한.
   ☆노역인(勞役人)의 현훈(眩暈;정신이 어찔어찔하고 어지러움)에는 반하(半夏)·백작약·천마·숙지황(熟地黃) 각 3.75g을 가한다.
   ☆열이 있을 경우에는 황금(黃芩)·황련(黃連) 각 3.75g을 가한다.
   ☆풍한(風寒)에 감축되어 신열·두통 등증이 있을 경우에는 강활(羌活)·방풍(防風)·백지(白芷)·천궁(川芎) 각 3.75g을 가한다.
   ☆안통(眼痛)에는 감국(甘菊)·숙지황 각 3.75g을 가미하고 신열이 있으면 생지황(生地黃)7.5g~11.25g을 가한다.
   ☆혈열(血熱)이 심하여 안구가 충혈되거나 안부(目部)가 종창(腫脹)이된 경우에는 초룡담(草龍膽) 3.75~7.5g을 가한다.
   ☆비색증(鼻塞症)인 경우에는 맥문동(麥門冬)·치자·세신·신이(辛荑) 각 3.75~4.5g을 가한다.
   ☆축농증(蓄膿症)인 경우에는 백지·신이·치자·황금(黃芩) 각 3.75g을 가한다.
   ☆비한(鼻汗)과다 및 후각 장애에는 맥문동·치자·세신·신이 각 3.75g을 가한다.    ☆해수(咳嗽)·안면 창백·비류청체(鼻流淸涕) 등증에는 복령·반하제·오미자 각3.75g을 가한다.
   ☆오후인두통(午後咽頭痛)에는 현삼(玄蔘)3.75g, 지모(知母)·황백병염수초(黃栢並鹽水炒; 황백과 소금물을 복는다) 각 3g을 가한다.
   ☆연하곤란(嚥下困難)에는 승마·시호·감초를 빼고 도인(桃仁) 3.75g, 백밀(白蜜)·우유 각 2숟갈을 가한다.
   ☆심비(心脾)의 기능 장애로 설건(舌乾)·구조(口燥) 등증이 초래되는 경우에는 황련·치자 각 3.75g을 가한다.
   ☆구건(口乾)·구갈(口渴)에는 갈근 3.75~7.5g을 가한다.
   ☆구설생창(口舌生瘡)에는 오한 발열이 동반되면서 전신 권태·식욕 부진이 있을 경우에는 맥문동·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위장 허열(虛熱)로 치아통(齒牙痛)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숙지황·백작약·목단피(牧丹皮)·백복령 각 3.75g을 가한다.
   ☆열복통(熟腰痛)에는 백작약 7.5~11.25g을 가한다.
   ☆오한·냉복통(冷腰痛)에는 육계 3.75g을 가한다.
   ☆몸통 희냉자(喜冷者)는 백작약·황금(黃芩) 각 3.75g~5.625g을 가한다.
   ☆소복통(小腹痛)에는 소회향(小茴香) 3.75~7.5g을 가한다.
   ☆소화 불량·식욕 감퇴에는 산사(山査)·신곡초(神곡炒)·맥이초연(麥芽炒硏)·지실(枳實)·사인초연(砂仁炒硏) 각 3.75g을 가한다.
   ☆흉복창만(胸服脹滿)·애기(噯氣)·탄산(呑酸) 등 증에는 복령·반하제(半夏製) 각 3.75g을 가한다.
   ☆적취(積聚)·징가(癥瘕)·수척(瘦瘠)·식욕감퇴 등 증에는 삼릉(三稜)·봉출(蓬朮)·향부자초(香附子炒)·곽향(藿香)·진피·청피(靑皮)·길경(桔梗)·육계·익지인초연(益知仁炒硏) 각 3.75g을 가한다.
   ☆변비증에는 당귀를 두배로 하고, 숙지황·아교 또는 도인(桃仁)·홍화(紅花)·마자인(麻子仁) 각 3.75g을 가한다.
   ☆설사에는 백작약·백복령·택사(澤瀉) 각 3.75g을 가한다.
   ☆구리(久痢)에는 부자포(附子炮) 3.75g 또는 저근백피(樗根白皮)·현지초(玄之草) 각 7.5g을 가미한다.
   ☆허리(虛痢)에는 황련(黃連)·목향(木香)·빈랑(檳榔)·오수유(吳茱萸) 각 3g, 복통에는 계심(桂心) 3.75g 열이 있으면 대황(大黃) 5.625~11.25g을 가한다.
   ☆활설(滑泄)에는 가자(訶子)·육두구(肉豆蔲) 각 3.75g을 가한다.
   ☆허증성(虛症性) 체질자로서 항문출혈인 경우에는 아교주(阿膠珠)·저근백피주초(樗根白皮酒炒)·지유초흑(地楡炒黑)·괴화(槐花)·측백엽초흑(側栢葉炒黑) 각 3.75g을 가한다.
   ☆혈리(血痢)로 흉복 팽만·식욕 감퇴·전신권태 등 증이 수반되는 경우에는 반하(半夏)·복령 각 3.75g을 가한다.
   ☆탈항에는 승마(升麻)의 양을 높이고 적석지(赤石脂)·영신초(靈神草) 각 7.5g을 가한다.
   ☆대변을 보기 전이나 보고 난 후에 항문 출혈이 있으면 황련·오수유·저근백피·측백엽초흑 각 3.75g을 가한다.
   ☆자궁탈(子宮脫)에는 영신초 11.25~18.75g을 가한다.
   ☆비장열(脾臟熱)로 허약하여 제습(除濕)이 되지 않아 담이 생기는 경우에는 반하·복령 각 3.75g을 가한다.
   ☆비장의 허한(虛寒)으로 구설(久泄)되는 경우에는 목향·육두구·파고지초(破古紙炒) 각 3.75g가한다.
   ☆음주 과다로 원기 허약·사지 무력·식욕 감퇴·안면 홍색·소변 불통 등증이 생기는 경우에는 맥문동 3.75g을 가한다.
   ☆담을 토하고 설사를 하며 음식물을 보기도 싫고 얼굴은 위황(痿黃)하며 피로한 경우에는 당귀를 빼고, 반하제·건강(乾薑)·포부자·육두구 각 3.75g을 가한다.
   ☆음허내열(陰虛內熱)로 담이 생기고 혹은 상초(上焦)에 열이 있을 경우에는 패모(貝母)·천화분(天花粉) 각 3.75g을 가한다.
   ☆담으로 비 위장이 불화한 경우에는 반하제·맥아초(麥芽炒)각 3.75g을 가한다.
   ☆담에는 반하·복령(茯령) 각 3.75g을 가한다.
   ☆내상허증(內傷虛症)으로 발열·자한(自汗)·여우불지자(如雨不止者)에는 계지(桂枝)·마황근(麻黃根)·부소맥(浮小麥) 각 3.75g, 부자포 1.875g을 가하다.
   ☆발한 과다에는 승마와 시호를 빼고 산조인초(酸棗仁炒) 3.75g을 가한다.
   ☆불매증(不寐症)에는 계지 11.25g, 방풍 3.75g, 부소맥 3g, 오매(烏梅) 2개를 가한다.
   ☆흉통(胸痛)에는 시호(柴胡)를 두 배로 한다.
   ☆심흉비만(心胸痞滿)에는 황기·승마·시호를 빼고, 황련·지실(枳實) 각 3.75g을 가한다.
   ☆심하비만(心下痞滿)·담유(痰有)·맥완(脈緩) 등 증에는 황련·반하제 각 3.75g을 가한다.
   ☆심화비만·변비증·사지부종(四肢浮腫) 등증에는 황련 3.75g, 그리고 시호와 감초를 두 배로 한다.
   ☆심하비만에는 황련·백작약 각 3.75g을 가한다.
   ☆심하비(心下痞)복통에는 작약 3.75~11.25g을 가한다.
   ☆심하비 중한자(中寒者)에는 황련·부자(附子) 각 3.75g을 가한다.
   ☆심하비 구역자(嘔逆者)에게는 황련·진피 각 3.75g 생강 5조각을 가한다.
   ☆식욕 왕성 심하비에는 황련·지실 각 3.75g을 가한다.
   ☆칠정(七情) 손상에 의하여 심신불안·심계 항진(心悸亢進)·경계(驚悸) 등증이 생기는 경우에는 산조인초·복령·원지(遠志)·석청포(石菖蒲)·백자인초연(栢子仁炒硏) 각 3.75g을 가한다.
   ☆해소에는 오미자·상백피(桑白皮) 각 3.75g을 가한다.
   ☆여름철의 해소에는 맥문동·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기침을 하는데 아침에는 담을 토하고 밤에는 기침이 심하며 호홉이 곤란하고 잠이 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담을 토하는 것은 비허증(脾虛症)이므로 보비제(補脾劑)를 가하고, 밤에 해소 천식이 심한 것은 폐허증(肺虛症)이므로 음화(陰火)가 상충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맥문동·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평소에 천식을 하면서 오한·발열·호홉 곤란 등 증이 있으면서 맥이 대단히 실한 경우에는 맥문동·오미자 각 3.75g을 가한다.
   ☆허로(虛勞)·발열·해소·극심한 쇠약·두중(頭重)·마른 생강·육계 각 3.75g을 가한다.
   ☆토혈·해소·유담(有痰) 등증에는 패모(貝母)·오미자·맥문동·복령 각 3.75g을 가한다.
   ☆흥분을 하거나 말을 많이 하게 되면 상습적으로 토혈·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숙지황·산약(山藥)·맥문동·오미자·복령·원지(遠志) 각 3.75g을 가한다.    ☆기허(氣虛)·조열(潮熱)에는 시호를 두 배로 하고, 별갑(別甲) 3.75g 가한다.
   ☆허화상염(虛火上炎)인 경우에는 현삼(玄蔘)·지모(知母)·황백병염초(黃栢병鹽炒) 각 3.75g을 가한다.
   ☆폐결핵의 경우 해소가 심하면 먁문동·오미자 각 3.5g 조열(潮熱)이 있으며 시호(柴胡)를 두 배로 한다.
   ☆하초(下焦)의 무력증에는 우슬(牛膝)·두충(杜沖) 각 3.75~7.5g을 가한다.
   ☆각약증(脚弱症)에는 방기(防己)·오가피(五加皮)·목과(木果) 각 3.75g을 가한다.    ☆여름철의 원기 부족에는 승마와 시호를 빼고, 박작약·황백초(黃栢炒) 각 1.875g을 가한다.
   ☆주하병(注夏病)에는 생맥산(生脈散)을 합방(合方)한다.
   ☆중기하약(中氣虛弱)·맥허미(脈虛微)한 경우에는 인삼·맥문동·오미자 각 3.75g, 황백주초(黃栢酒炒)·현훈·맥허약(脈虛弱) 등증에는 오미자·의이인(薏苡仁)부자 각 1.875g을 가미한다.
   ☆기허마비증(氣虛麻痺症)에는 향부자·오약(烏藥)·목과·방풍·청피(靑皮)·천궁·계지 각 3.75g을 가한다.
   ☆기허두통(氣虛頭痛)에는 만형자·세신·백작약·천궁 각 1.875g을 가한다.
   ☆자궁 출혈·안면 황색·사지권태·초조불안 등증에는 황백초흑·측백엽초흑·방풍·백작약 각 3.75g을 가미하거나 또는 귀비탕(歸脾湯)을 겸복(兼服)하는 수도 있다.    ☆학질에는 건강(乾薑)·부자포 각 1.875g 혹은·시호·별갑(別甲) 각 3.75g을 가미하여 쓰기도 한다.
   ☆신중동통(身中疼痛)에는 강활(강活)·방풍·승마·창출(蒼朮) 각 3.75g을 가한다.
   ☆열 손가락 및 안면 마비에는 강활·방풍·오약(烏藥)·맥문동·목향·부자포 각 3g을 가한다.
   ☆유뇨증(遺尿症)에는 산약(山藥)·오미자·익지인(益智仁)·오약 각 3.75g을 가한다.
   ☆유정(遺精)에는 산약·산수유(山茱萸) 각 3.75g 또는 용골·모려 각 7.5g 가해서 쓰기도 한다.
   ☆유정실금(遺精失禁)·신체허약·수척 등증에는 시호를 빼고 산약·산수유·백작약·산조인초 각 3,75g을 가한다.